It Study/프로그래밍 공부
서블릿을 활용해 구구단 출력( 단 수가 한개인 경우)
prlkt5200
2024. 9. 25. 01:30
반응형
서블릿이란 게 어떤 것인지 저는 아직 공부가 부족해 정확히 설명을 못드리겠습니다.
다만 유튜브에서 보기로는 서블릿이란게 java를 이용해 html을 조작하는 것 같았습니다.
조금 더 지식의 깊이가 채워지면 서블릿 개념 정리를 하고, 우선 실습을 해나가도록하겠습니다 ㅋㅋㅋㅋ
그리고 아래의 코드는 사진으로 보기 힘들 것 같아 달았습니다.
여기서 집고 넘어가면 좋은 것은
req.getParameter("문자열")의 역할은, 주소창에서 문자열 = 값의 형태로 써져있으면 그 값을
문자열 값. 다시말해 "값" 형태로 반환해준다는 것입니다.
package com.sbs.jsp.board.servlet;
import jakarta.servlet.ServletException;
import jakarta.servlet.annotation.WebServlet;
import jakarta.servlet.http.HttpServlet;
import jakarta.servlet.http.HttpServletRequest;
import jakarta.servlet.http.HttpServletResponse;
import java.io.IOException;
@WebServlet("/gugudan")
public class GugudanServlet extends HttpServlet {
@Override
protected void doGet(HttpServletRequest req, HttpServletResponse resp) throws ServletException, IOException {
req.setCharacterEncoding("UTF-8");
resp.setCharacterEncoding("UTF-8");
resp.setContentType("text/html; charset UTF-8");
int dan = Integer.parseInt(req.getParameter("dan"));
int limit = Integer.parseInt(req.getParameter("limit"));
resp.getWriter().append("<h1>%d</h1>".formatted(dan));
for (int i = 1; i <= limit; i++) {
resp.getWriter().append("<div>%d * %d = %d</div>".formatted(dan, i, dan * i));
}
}
}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