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제가 공부하면서 잘못 이해했던 것이 있습니다.

그것은 변수 선언과 바인딩을 똑같은 의미로 사용하던 것이었습니다.

 

예를들면

ex) String str = "테스트"; 

str과 "테스트"를 바인딩했다. (이것은 잘못된 표현입니다.)

str 변수를 "테스트" 문자열로 선언했다. 이것이 옳습니다.

 

바인딩의 나중에 간단히 포스팅하겠지만, 그 중에서 종류 2가지와  그중 1개의 정의를 먼저 간단히 설명하고 넘어가겠습니다.

 

바인딩의 종류: 동적 바인딩, 정적 바인딩.

 

동적 바인딩 정의

1.자식클래스의 객체를 부모클래스 타입으로 업캐스팅 하고 난 뒤.

Parent p = new Child();

 

2.부모클래스 타입의 참조변수를 이용해 부모클래스가 원래 가지고 있었고,  그것을 자식 클래스가 오버라이딩(메소드 덮어쓰기)한 메소드를 호출하면.

p.(부모와 자식이 동일하게 가지고 있는) 메소드;

 

실행 시점에는 자식클래스의 오버라이딩한 메소드가 호출되는 것을 말합니다.

p.(부모와 자식이 동일하게 가지고 있는) 메소드;

반응형